임산부의 환도는 엉덩이에 힘을 주면 양쪽 엉덩이에 움푹
들어가는 골반 부위를 말합니다.
임산부의 꼬리뼈 주변 통증을"환도 선다"라고 하는데
의학 용어로는 "증상유발 골반 이완증"이라고 합니다.
1. 임산부 꼬리뼈 통증 환도선다 원인
아직 환도선다의 정확하게 통증의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추측으로 호르몬 변화로 인한 골반인대의 이완
그리고 그에 따른 골반 불균형 때문에라고 합니다.
환도선다의 통증은 주로 엉치뼈, 꼬리뼈, 엉덩이 주위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임신 20주 차 전후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임신 8개월 무렵에 통증의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환도선다 통증을 가진 임산부의 경우 임신 전 혹은 임신
중 운동을 거의 하지 않았거나 조기 진통의 위험으로
누워만 있었던 경우, 임신 전 요통과 골반 통증을 호소
했던 경우에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임신하면 릴렉신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면서 연골, 인대
등이 느슨해집니다. 임신 중에는 배가 나오고 하중의
증가로 골반 불균형이 되기 쉽고 체내 혈액순환이 원활
하지 않게 되면서 환도선다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2. 환도선다 통증과 허리통증의 차이점
환도선다는 일반적인 허리통증과 다른 증상이며 걸을 때
절뚝거림, 다리에 힘이 풀리는 느낌,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의 악화, 임신 후반기에 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오랜 시간 앉아 있다 일어서는 경우, 허리를 굽히거나
반대로 굽은 자세로 있다가 허리를 곧추세우는 경우,
돌아누울 경우, 무거운 물건을 밀거나 들 경우, 계단을
오르내리는 등 골반이 틀어지는 자세 등에서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환도선다 통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3. 환도선다 통증 관리
임신 중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않는다면 출산 후에도
환도선다의 통증이 심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로 환도선다를 경험한 임산부들의 출산 후 통증 재발
률이 41~77%에 달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환도선다와 같은 임신 중 허리, 골반 통증은 임신
초기부터 예방을 위한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만 여성에게 발생할 확률이 높으므로 임신 전 정상체중
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바른자세 유지
평소 다리꼬는 습관, 짝다리 습관을 피하고 힘들더라도
의식적으로 골반이 틀어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엉덩이 부위를 가볍게
마사지하는 것이 좋으며, 바로 누워 다리를 접어 올리는
스트레칭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2) 따뜻한 찜질팩 사용
체온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따뜻한 찜질팩을 사용하여
허리와 골반 부위, 통증부위에 올려 근육이완과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루 2~3회 찜질해 주면 좋고 너무 뜨겁지 않게 합니다.
(3) 적절한 휴식 취하기
규칙적인 휴식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고 2~3시간마다
5~10분 정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한 활동 후에는 피로 누적이 되지 않도록 쉽니다.
환도선다의 통증은 임신 중 자주 발생하는 문제지만,
적절한 관리와 스트레칭으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산부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한 관리 방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통증이 심한 경우 의사와 함께 상담
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건강에 좋은 음식 6가지와 주의사항 (0) | 2025.03.19 |
---|---|
4월 제철음식 과일 해산물 나물 (0) | 2025.03.14 |
산전 기형아 다운증후군 검사 종류 NIPT (0) | 2025.03.13 |
입덧 시기 증상 원인 입덧약 부작용 (0) | 2025.03.07 |
화이트데이 뜻 유래 선물 초콜릿 (0) | 2025.02.28 |